류인석(柳麟錫)은 주리적 성리학자인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전통적 유교질서인 정(正)에 대비하여 서양세력의 침략 및 서양 문명의 수용을 사(邪)로 규정하고 이에 대항하려는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을 받아들였다. 1876년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후 전국에서 개국 반대운동이 전개되었을 때, 홍재구(洪在龜) 등 강원도·경기도 유생 46명과 함께 척양소(斥洋疏)를 올려 개국이 부당함을 상소했다.
1895년 일본 정부에 의한 명성황후(明成皇后) 살해사건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시행되자 유생들의 을미독립운동이 일어났고 류인석은 총대장으로 추대되었으며 전국 사림(士林)에게 격문을 띄워 개화에 반대하는 척왜양(斥倭洋)의 대의를 호소했다.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이 강제 늑결되자, 전국 유림들에게 의토(義討)·언토(言討)하자는 운동을 벌였다.
1907년 정미늑약이 강제 늑결되고 군대 해산이 이루어지자 전국민의 조직적인 성토대회로 일본을 제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광복운동 기지를 마련하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갔고 이범윤(李範允)·이남기(李南基)·이상설(李相卨) 등의 추대를 받아, 13도의군(十三道義軍) 도총재(都總裁)가 되어 13도 대소동포(大小同胞)에게 통고하는 포고문을 발표하여 국민의 단결과 결사 보국을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