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조선 왕실의 장례 국장(國葬)·인산(因山)
김민수 한민족운동단체연합 홍보국장
왕,왕비, 왕세자,세자빈의 장례를 국장 또는 인산이라 하며 국조오례의에 자세한 절차가 실려 있는데, 국상의 절차는 1단계는 국휼고명(國恤顧命)에서 성복(成服)까지, 2단계는 성복에서 장례까지다.
왕의 임종이 가까워지면 정사를 보는 곳에 모시고 왕세자와 신하 등이 마지막 명령을 기다리며 숨이 끊어지면 곡을 하고, 내시가 평소에 왕이 입던 웃옷을 들고 지붕으로 올라가 '상위복'(上位復)을 3번 부르고 던지면, 다른 내시가 그 옷을 받아 왕의 시신을 덮는다. 왕세자·대군·내명부 등 모두가 머리를 푼 다음, 흰옷과 흰신, 거친 베로 만든 버선을 신고 3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는다. 상사의 절차에 소홀함이 없도록 엄하게 영을 내리고, 이조에서는 초상을 집행할 관원과 업무를 정한다. 내시들이 왕의 시신을 목욕시키고 옷을 입힌다. 음식을 갖추어 술잔을 올리고, 왕세자·대군·왕비·내명부 등이 각자의 위(位)에 나아가 곡을 한다. 문관은 동쪽, 무관은 서쪽에 서서 모두 곡을 하고 4번 절한다. 시신의 입에 쌀과 진주를 물리고, 시신이 썩지 않게 나무틀을 짜서 얼음을 넣어 시신의 사면을 둘러싼다. 붉은 칠을 한 의자에 흰천으로 영좌(靈座)를 만들고, 붉은 천에 금박으로 '대행왕재궁'(大行王梓宮)이라고 써서 영좌 오른쪽에 둔다. 3일째 되는 날 사직·영녕전·종묘에 고하고 베로 시신을 싸서 묶는다. 다시 음식을 올리고, 공조에서 관을 준비한 뒤 시신을 묶어 관에 넣는다. 음식을 차려 올리고 선공감에서 정전(正殿)의 서편에 빈소를 차린다. 다시 음식을 올리고, 선공감에서 중문 밖에 대신이 머무를 의려(倚廬)를, 내시들이 별실에 왕비·왕세자빈·내명부들이 머물도록 의려를 마련한다. 다시 음식을 올리고, 왕세자 이하 모두가 상복으로 갈아입으면 1단계 절차가 끝이 난다.
상복의 규격과 상기(喪朞)를 정하고, 왕위를 오래 비워 둘 수가 없으므로 왕세자가 왕위를 계승한다. 왕위에 오른 사실을 교서로 대내외에 알리고 국정을 처리한다. 외국에 사신을 보내 국상을 알린다. 매일 새벽과 저녁에 음식을 갖추어 잔을 올리고 아침과 저녁에 상식을 올린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음식을 올리고 곡을 한다. 날을 받아 의정부에서 영의정이 모든 관리와 함께 분향한다. 상을 당한 지 5개월 뒤 장사를 지내는데, 지관을 시켜 터를 잡고 날을 잡아 땅을 판다. 시호를 의논하여 정한 뒤 종묘에 결정된 사유를 알리고, 상시(上諡)의 예를 행한다. 발인하기 전날 관을 닦고 점검한다. 음식을 갖추고 왕이 술을 올려 발인할 것을 고한 뒤 관을 상여로 옮기는데, 그 전에 중문 밖에서 상여로 옮긴다는 사유를 고한다. 관을 상여로 옮기고 출발하기 전 상여를 수행할 문무백관의 자리를 정하고 묘지로 향한다. 노제(路祭)를 한 뒤 상여가 장지에 도착하면 하관하고, 흙을 덮으면 2단계가 끝이 나며 백성들도 국상이 있으면 소복과 흰 초립을 쓰고 곡을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