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면류관(冕旒冠) 원유관(遠遊冠) 익선관(翼善冠) 통천관(通天冠)
김민수 칼럼니스트
조선 국왕과 왕세자의 즉위식,혼례에 입는 대례복(大禮服)인 면복에 쓰는 면류관(冕旒冠)은 곤복(袞服)과 함께 착용하였다.폭이 7치, 길이 1자[尺] 2치의 전원후방(前圓後方)의 평천판(平天板)에 앞 4치, 뒤 3치의 수류(垂旒)를 달고 면관의 좌우 양옆 귀쪽에 주광(黈纊)과 옥진(玉瑱)을 늘어뜨리고 굉(紘)과 담(紞)으로 장식되어 있다.
면류관은 사각형의 천판에 면류(옥구슬)를 매단 관이며 국왕은 구류면(九旒冕)이고, 왕세자는 팔류면(八旒冕)이었으나 광무 원년(1897년) 고종이 황제에 즉위하고 십이류면(十二旒冕)이 되었고 황태자관은 구류면이 되었다. 곤복은 중단,의,상을 입고 대대를 두르고 폐슬,혁대,패옥,방심곡령,수,말,석,규를 착용했다.
중단은 겉옷 안에 입는 옷인데 두루마기와 형태가 비슷하지만 소매가 넓으며 깃에는 불문이 금박되어 있다.의는 저고리,상은 치마,대대는 허리띠와 비슷한 것이다.폐슬은 허리부터 무릎 아래에 드리우는 사각형의 천이며 장문이 수놓아져 있으며 혁대는 품대로 허리에 두르는 사각형의 띠로 신분을 나타낸다.
패옥은 허리에서 양 옆으로 늘어뜨리는 옥 장식이며 움직일 때마다 아름다운 소리가 난다.방심곡령은 둥근 고리 모양에 사각형이 매달려 있는 형태로 가슴에 늘어뜨린 것이다.수(綬)는 후수라고도 하며 허리에서 뒤쪽에 늘어뜨리는 띠이며 품계에 따라 문양이 다르며 말(襪)은 버선을 말하며 석舃)은 신발을 말하고 규(圭)는 손에 드는 옥판인데 위는 삼각형 모양이고 아래는 네모지다.
조복(朝服)은 왕과 문무백관들이 설날,동짓날의 하례,의식에 착용하던 예복이며 왕은 원유관을 쓰고 강사포(絳紗袍)를 입었는데 원유관(遠遊冠)은 회색의 나(羅)로 만든 구량(九梁)에 금잠(金簪)을 꽂았고,황(黃),창(蒼),백(白),주(朱),흑(黑)의 차례로 5가지 색의 옥(玉)으로써 전후 9개씩 18개의 옥을 장식하였고 양 옆에 있는 2줄의 붉은색 끈을 턱밑에서 매고 나머지는 늘어뜨렸다.
국왕 ·왕세자의 상복(常服)에 곤룡포(袞龍袍)와 함께 쓰는 익선관(翼善冠)은 면류관의 평천판의 옷감과 같은 검은 사(紗)로 덮혀 있고 관 뒤에는 양각(兩角)이 위로 향하여 솟아 있다.
1897년 고종이 대한국 광무황제에 즉위하면서 조하(朝賀)를 받을 때 입는 강사포(絳紗袍)와 함께 쓴 통천관(通天冠)은 오사모(烏紗帽)의 앞뒤에 각각 12량이 있고 청 ·황 ·홍 ·흑 ·백색의 오색 구슬 12개를 꿰었고 옥으로 된 비녀와 홍색 조영(組纓)을 달았다.
포(袍)는 붉은 강사 또는 홍단으로 만들었는데 깃,도련,소매 끝에 붉은색 선을 두르며 중단은 백초,백라,백사 등의 비단으로 하며 붉은 색 깃에 불문을 그린다.폐슬(蔽膝),대대(大帶),패옥(佩玉),수(綬),규(圭),방심곡령 등은 면복과 동일하며 말(襪)은 흰색,석(舃)은 흑색이다.
1895년 을미개혁(乙未改革)으로 단발령과 함께 제도적으로 양복이 공인되었고 1899년 외교관의 복식을 양복화하였으며 1900년 문관의 예복을 구미식으로 바꿔 대한제국(Daehan Empire)의 관복제도가 양복화됨에 따라 상류층은 양복을 입기 시작하였으나 일반인들은 한복을 착용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