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3년 고조 어극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칭경식(稱慶式)'을 전통예술극장인 광무대(光武臺)에서 열었으며,대한국(大韓國) 고조 광무제는 경운궁부터 광무대까지 행사 이동시 사용할 포드 또는 캐딜락 승용차 1대를 칭경식(稱慶式) 의전용 어차(御車)로 수입을 지시했다.
궁내부는 알렌 미국 공사를 통해 샌프란시스코의 자동차 판매상 프레이저'로부터 포드의 A형 4인승 무개차 1대를 수입했다. 알렌 미국 공사는 1884년 대한국에 와서 선교 활동을 시작하였으며,최초의 서양 병원인 광혜원을 세워 신임을 받고 고조 광무제의 주치의를 지냈다.
인천항에서 하역하고 1899년 개통한 경인선 철도를 이용하여 1902년 개통한 한강철교를 건너 남대문역에서 내려서 경운궁까지 가야 했으므로 칭경식이 끝난 후에 도착하고 황제의 행차는 위엄이 있어야 하는데,차가 시끄럽게 소리나고 빨리 달려 황제 행차에 사용하지 못했다.
1908년 황실용으로 수입되었던 2 대의 차가 최초의 어차가 되었는데 한 대는 고조 광무제용 영국제 흑색 다임러 리무진이고,다른 한 대는 순종 융희제용 프랑스제 적색 르노 리무진이었다. 1910년 한 대를 더 수입한 차가 경복궁 고궁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캐딜락 리무진이다.
대한제국 1대 고조(高祖) 광무제가 어차(御車)를 타고 행차했다는 기록은 없으며 2대 순종 융희제는 캐딜락 리무진을,순정효황후가 다임러 리무진을 탔으며,어차(御車) 문에 대한 황실의 상징 문장인 이화문(자두꽃)을 금도금하고 3대 의친왕(義親王)은 오버랜드를 애용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