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부산(부전역)에서 울산(태화강역)까지 76분 소요돼 출 퇴근, 통학 가능한 일상 생활·경제권 구축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부 울 경 메가시티 구축의 초석이 될 ‘동해선(부산~울산) 복선전철’이 28일 새벽 첫차를 시작으로 완전 개통됐다고 밝혔다. 부산과 울산을 잇는 복선전철인 동해선은 총사업비 2조 8,270억원이 투입됐으며, 지난 2003년부터 추진됐다. 전체 65.7km, 23개 역 중 2016년 1단계 구간인 부전-일광 28.5km, 15개 역이 먼저 개통됐고, 이번에 2단계 구간인 일광~태화강 37.2km, 8개 역이 개통하게 됐다. 2단계 구간 개통으로 동해선이 완전 개통됨에 따라, 부전역에서 태화강역까지 편도기준 76분이면 이동할 수 있게 됐다. 부산과 울산이 도시철도와 같은 전철을 타고 1시간대 출 퇴근, 통학이 가능한 일상 생활 경제권으로 묶이게 된다 부전역에서 태화강역까지 하루 100여 차례 전동차가 운행되며, 운행 간격은 출ㆍ퇴근 시간대 15분, 그 외 시간대 25분~30분이다. 이용 요금은 10km 이내의 경우 1,300원이며, 이후 10km마다 200원이 추가된다. 또한, 부산시와 울산시의 경계를 넘어가는 경우 광역운임 200원이 추가돼 최대 2,500원의 요금이 부과된다. 시의 대중교통 활성화 노력으로 도시철도 및 시내버스, 마을버스의 환승할인도 기존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시민들의 교통편의 증진을 위해 부산시는 운행 간격을 출퇴근 시간대 10분, 그 외 시간대 20분으로 줄이는 방안을 국토부 등에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박 시장은 “동해선 부산-울산 구간은 수도권을 제외하고 시-도간 광역철도망이 처음 연결된 것으로, 부·울·경이 1시간대 생활·경제권으로 통합돼 지역 주민의 교통 편익 증진과 국가균형발전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에도 초석이 될 것”이라며, “또한, 가덕도 신공항과 연계한 광역교통망 구축과 동남권 발전의 기폭제인 2030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 개최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2024년에는 서울 청량리에서 부전까지 연결되는 준고속열차인 KTX이음(중앙선-동해선)도 운행될 예정”이라며, “동해선이 부울경의 핵심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운행간격 단축 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동해선 부산~울산 구간 개통과 함께 동해선 울산-포항 구간 그리고 중앙선 영천-신경주 구간, 대구선 동대구-영천 구간 개통에 따른 동남권 4개 철도 개통식이 오전 11시 울산 태화강역에서 열렸다. 행사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박 시장과 울산, 대구, 경북 시도지사,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이헌승 국회의원, 정동만 국회의원, 박성민 국회 의원, 관계기관 대표, 시민대표 등이 참석했다. 박 시장은 이날 개통식에서 “동남권 4개 철도 동시 개통으로 울산과 대구, 경북, 부산을 포함하는 동남권 전체가 하나의 광역생활ㆍ경제권으로 연계 발전할 수 있게 되어, 동남권 시·도민들이 일상에서의 행복한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오늘 개통된 철도망이 향후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환동해권과 유라시아 대륙으로 확장 시켜 나가는 동맥이 될 것이라 믿는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2030부산세계박람회의 거대한 성장 에너지가 동남권 전체를 적시고, 대한민국을 세계 일류 국가 반열에 우뚝 세워놓을 수 있도록,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도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하고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2030부산세계박람회 성공 개최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거듭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