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을 맞은 자녀들과 함께 테마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온달 관광지를 방문하는 것도 뜻 깊은 여행이 될 것이다.
단양에서 영월 방면 59번 국도를 이용하여 군간교에서 우회전하면 595번 지방도로와 만나게 되는데 영춘교에서 우회전하여 남천교를 지나 직진하게 되면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천년사랑이 베인 온달산성과 4억 5천만년 동안 자연의 신비를 간직해온 온달동굴과 만나게 된다.
온달산성은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 온달이 신라군의 침입때 이 성을 쌓고 싸우다가 전사하였다는 전설이 있는 옛 석성으로 둘레 683m, 동쪽높이 6m, 남북쪽이 7~8m, 서쪽의 높이 10m, 성의두께 3-4m로 영춘을 돌아 흐르는 남한강 남안의 산에 돌로 축성한 성으로 현존하고 있다.
이와 아울러 온달산성 바로 아래에는 온달동굴이 위치하고 있는데, 온달장군이 전쟁도중 쉬던 곳이라 전하며, 천연기념물 제 26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동굴은 조선시대 문헌 ‘동국여지승람’에 남굴이라 기록되 있으며, 성산 아래에 있어 일명 성산굴이라고도 불리우기도 했다.
석회암 지대에 형성된 천연동굴로 생성 시기는 최장 4억5천년 전으로 추정되고 있는 이 동굴은 총 길이 760m로서 입구에서 동쪽으로 길게나 있는 주굴과 이곳에서 갈라져 나간 다섯 갈래의 굴로 이루어져 있고, 동굴 내부에는 여섯 곳의 광장이 있으며, 군데군데 다채로운 석순과 종류석이 발달해 있다.
동굴내부에 수심 80cm-1m 정도의 물이 흐르고, 물고기가 서식하고 있어 자연의 신비를 체험할 수 있으며, 동굴 내 기온은 대체로 16℃내외이고 겨울은 14℃내외이다.
이처럼 온달산성과 온달동굴을 중심으로 한 영춘면 일대에는 온달의 발자취가 그대로 생생하게 남아있다.
고구려 영양왕 1년(서기 590년) 치열한 삼국의 영토분쟁 속에서 신라에게 빼앗긴 죽령일대의 옛 영토를 회복하기 위해 영춘면 지역에서 신라군과 전쟁을 치루던 온달장군이 앉아서 쉬었다는 바위가 있던 마을이 있는데 그 이름이 지금도 ‘휴석동(休石洞)’ 으로 불리운다.
또한 영춘면 장발리 선돌’에는 온달장군의 누이동생이 온달을 돕기 위해 온달산성으로 달려오던 중, 성 아래의 장발리에서 온달의 전사 소식을 듣고 대경실색해 제자리에 선 채 숨이 막혀 그 자리에서 죽어 한에 사무친 시신이 돌로 변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온달산성과 온달동굴을 중심으로 한 영춘면 일대에는 온달의 발자취가 엊그제 일처럼 생생하게 전승되고 있으며, 온달장군과 평강공주는 고구려 평원왕(평강왕) 때(559-590)의 사람으로 단양군에서는 이들을 단양군의 케릭터로 부각시키고 있다.
평강공주는 16세에 사대부와 혼인하라는 아버지의 뜻을 어기고 온달과 부부의 연을 맺었고, 바보 온달을 고구려의 무사로 키워냈다는 이야기는 누구나 다 아는 유명한 설화다.
온달은 영양왕이 즉위한 590년,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유역의 탈환을 위해 출정할 것을 왕에게 아뢰고, 계립현과 죽령 서쪽의 땅을 우리에게 돌리지 않으면 돌아오지 않겠다’는 말을 남기고 출정해 신라군과 더불어 아단성(온달성) 아래에서 싸우다 화살에 맞아 죽는다.
그 후 온달장군의 장사를 지내려하였으나, 관이 움직이지 않아 평강공주가 달려와 관을 어루만지며, 죽고 사는 것은 이미 결판이 났으니 돌아 가시오’라고 하니, 관이 움직여 장사를 지낼 수 있게 되었다는 설화가 온달유적지에 발을 딧는 순간 뭉클하게 전해져 온다.
단양군에서는 온달과 평강공주에 얽힌 이야기를 테마로 온달동굴과 온달산성을 하나로 묶어 온달관광지로 조성, 매년 가을 ‘온달문화축제’를 열어 이들의 혼을 달래 오고 있다.
영춘면 일대 온달관광지 주변에는 단양 제2팔경 가운데 하나인 북벽과 영춘면 남천리에 위치한 남천계곡과도 만나게 되며 인근에는 소백산 구봉팔문과 함께 조화를 이루고 있는 천태종 총본산 구인사도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
한편, 단양군은 여름 휴가철과 주5일제 근무에 따른 도시민들의 여유로운 여가시간을 고려 단양지역의 동굴관광 동굴관람시간을 연장 운영키로 방침을 정했다.
이에 오는 27일까지 한시적으로 단양지역내 4대 개방동굴중 △천연기념물 제256호인 단양 고수동굴 △천연기념물 제261호 온달동굴에 대하여 당초 개장시간이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이던 것을 오전 9시~오후 8시까지로 2시간을 연장키로 했다.
고수동굴은 단양읍 고수리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동굴로 약 5억년전 고생대 전기 해저에서 퇴적된 석회암이 모암으로 발달한 석회암 동굴로서 천연기념물 제 256호로 지정되었으며, 총 길이 1,700m의 종유동굴로 고수동굴이라는 이름은 고수동 마을명칭에서 유래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