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변인 전여옥은 28일 노무현 참여정부는 공직 의 개념도 개혁했다. 공직이란 집권당의 지역공략을 위한 경품’이라는 뜻이라고 대통령이 직접 밝힌 셈이다. 이미 개혁이란 단어가 국민들에게 무모함, 무능과 위선 그리고 무분별한 파괴란 뜻이 된 것과 마찬가지 일이다.
그러나 한나라의 공직이 특정지역 낙선자를 위한 위로차원의 경품’이 된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다. 그것도 100%당첨 확률의 경품 말이다.
노무현 참여정부 아래 공직의 임명기준은 능력도 전문성도 풍부한 경험도 아니다. 대통령과 친하거나 코드가 일치하거나 특정지역에 나가 떨어지면 된다. 이들에게 공직은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말 그대로 ‘떼놓은 당상’이 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취임 초에 친인척과 측근비리에 대해선 패가망신을 시키겠노라고 했다. 그러나 패가망신은 커녕 아예 법위에 군림하며 호의호식하고 있다.
이 한심한 인사의 앞날은 이미 실험이 끝났다. 무능인사, 코드인사, 낙하산인사, 그리고 경품인사로 임명된 이들은 너도 나도 질세라사고 를 치고 있기 때문이다.
군 기강은 해이해질대로 해이해졌고 철책선은 자유왕래코스가 되었다. 대한민국이 아들가진 부모는 한시도 가슴 졸이지 않는 때가 없게 되었다. 그 뿐인가 IMF때도 끄덕 없는 KBS는 눈덩이적자로 빚더미에 앉고 말았다. 이 모두가 참여정부의 공직인사방식 이 가져온 당연하고도 예정된 결과인 것이다.
공직은 누구나 두려움으로 맡는다. 그러나 공직의 신성함이 사라지고 낙선자 위문경품이 된 지금이 현실이 가져올 앞날이 크게 우려된다.